본문 바로가기

정보 : Living Information

한글날 공휴일 알아보기 (ft. 한글날 집회)

 

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세계에게 자국 언어를 쓰는 나라는 얼마 없다고 하죠.

 

평상시에는 소중한지 모르고 사용하는 한글을 이런 날이라도

 

한번 더 생각해보고 감사하는 기회를 가져야겠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한글과 한글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글날 국경일 이유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억하기 위함입니다.

 

 

한글 유래


훈민 정음은 세종 25년 (서기 1443년) 완성되었습니다.


무려 3년간의 시험기간을 거쳐 세종 28년 (서기 1446년) 반포하였습니다.

 

문자가 없어 한문을 빌려 쓰는 불편함과 국민들이 글자를 몰라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종대왕께서 고생해서 만드신 것이 한글입니다.


한글의 위대함

전 세계 국가별 문맹률 따져볼 때 우리나라는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또한, 한글은 대부분의 소리 나는 발음을 글로 쓸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한글날은 언제부터

1926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해졌습니다. 

 

1928년 한글날로 명칭 변경을 바꾸고 광복 이후 양력 10월 9일로 변경되었습니다.

 

1990년에 국경일 → 단순 기념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다른 나라에 비해 공휴일이 많아서였다네요.

 

2005년 12월 8일 한글날 국경일 지정 법안 통과되었고

 

2006년부터 다시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한글날을 공휴일인가요

2006년 국경일로 지정되었으나 법정 공휴일은 아니었습니다.

 

2012년 다시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었고, 2013년부터 휴일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의무적 휴무는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상 휴일이 아님) 

 

단, 관공서(공무원)는 휴무이니깐 행정업무 보실 때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5대 국경일은(2020년 기준)

3.1절 (법정 공휴일)


제헌절 (7월 17일, 휴일 아님)


광복절 (8월 15일, 법정 공휴일)


개천절 (10월 3일, 법정 공휴일)


한글날 (10월 9일, 법정 공휴일)


한글날 집회
 

정세균 국무총리는 허용하지 않을 방침 발표였습니다.

 

집회를 강행할 경우는 즉시 검거를 하겠다는 특단을 밝혔습니다.

 

코로나 19 방지를 위하여 정부의 정책을 준수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