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 Excel Information

[ 엑셀 ] 엑셀 파일 복구방법 ; 엑셀 자동 저장기능 설정

오늘 공부해볼 내용은 엑셀 파일 복구와 자동 저장기능 설정이다. 용량이 큰 엑셀파일로 열심히 작업하다보면 가끔 엑셀이 뻑(?!)이 나는 수가 있다. 한마디로 비정상 종료가 될때이다. 그냥 수식하나 서식하나 추가했을 뿐인데 갑자기 실행중을 표시하는 동그라미가 영원히 사라지지 않다가 결국 뻗고 만다.

 

이럴때는 정말…. 뭐라고 표현할 수가 없다. 특히, 중간마다 수시로 저장하지 않았거나 자동저장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그냥 컴퓨터 전원을 끄고 시원하게 퇴근하길 추천한다. ~ 그럼 이런 심신에 해로운 최악의 상태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비정상적인 종료가 되었을때 파일 자체를 살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운이 좋다면 직전까지 작업했던 내용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만약 그렇지 않더라도 자동 저장해놓은 시간(보통 10)만큼은 살릴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엑셀의 자동저장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엑셀을 작업중일때도 엑셀 요놈이 알아서 저장해주는 기능을 말한다. 이 기능을 자동 저장하는 시간 간격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 그럼 첫번째 방법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그림과 같이 새파일을 열어준다. 아마 이 파일을 열었을때는 비정상적인 종료 후 재부팅을 했을 경우일 것이다. 우선, 마음을 진정하고 차근차근 해보자. 새파일을 실행 후 [파일]을 선택한다.

 

 

[파일]을 선택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실행된다. 여기서 좌측에 있는 [열기]를 선택한다.

 

 

[열기]를 선택하며 아래와 같은 화면이 실행된다. 아래쪽에 보면 [저장되지 않은 통합 문서 복구] 실행버튼이 보인다. 이 버튼이 우리의 심신을 위로해줄 비정상적인 종료로 인해 저장되지,,,아니 저장하지 못한 파일을 살릴 수 있는 한줄기 희망이다. ~ 그럼 선택해 보자!

 

 

~ 아래 실행한 화면을 보면 파일 두개가 보인다. 과거에 작업중에 엑셀이 뻗는 바람에 저장하지 못했던 파일이다. 나도 있는지도 몰랐던 파일이다. 저렇게 살리는 방법이 있는 줄 몰랐으니깐그럼 파일 하나를 실행해보자.

 

 

와우~ 이 파일은 지난번 엑셀 하이퍼링크 관련 포스팅을 하면서 만들었던 파일이다. 그때다시 만들었던 기억이….나는구나…. 아래 화면을 보면 당시 스트레스 받았던 날짜와 시간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기억이 난다….

 

 

두번째 방법을 알아보자. 이 방법은 엑셀의 자동 저장기능을 설정하여 수시로 저장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종료가 되었을때 최대한 최근 상태의 파일을 살릴 수 있는 기능이다. [파일]을 선택한다.

 

 

화면 좌측 하단에 있는 [옵션]을 선택한다.

 

 

옵션창의 [저장]을 선택하면 오른쪽에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항목이 나온다. 여기에 입력된 시간정보가 엑셀의 자동 저장 간격 시간이다. 이 시간은 최소 1분에서 최대 120분까지 설정 가능하다.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바로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엑셀의 속도가 늦어지는 것 같다. 10분 정도면 적당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