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보면 우울증, 조현병 등 정신적인 질환으로 인한 사건사고가 자주 보입니다.
특히, 감기처럼 흔하게 듣는 우울증이라는 질환은 어느새 우리 가까이에서
언제든지 누구라도 걸리 수 있는 병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런 우울증을 조금 더 정확히 알고 치료 및 예방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여 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도 관리하자는 차원에서 준비했습니다.
우울증 이해와 치료
우울증이란(Depressive Disorder) 쉽게 말하면 우울한 감정으로
인해 생활 자체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사람은 모두가 주변에 누군가 떠나거나 힘든 일이 있을 때 우울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이 우울감의 폭이 너무 넓어 본인의 삶과 일에 악영향을 주고 이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우울증, 즉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비생산적이며 비관적으로 변화되고 만약, 이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본인 또는 주변 사람에게 나쁜 영향를 줄 가능성이 큽니다.
일반적으로 평생주기로 남자는 5~12%, 여자는 10~25% 우울증에 걸립니다.
이를 병으로 생각하고 병원에서 전문의에게 치료받는 사람은 약 10%밖에 되지 않습니다.
우울증 증상
[우울한 기분]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입버릇처럼 "우울하다" "무의미하다" "희망이 없다" 등과
같이 표현하고 정신적인 고통으로 인해 삶의 의욕을 잃는다고 합니다.
[사고장애]
부정적인 생각의 연속은 죄책감이나 상실감,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합니다.
이로 인해 건강염려증, 각종 망상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의욕상실 및 행동의 어려움]
과거에 즐거움을 느꼈던 행동에 대해서 흥미를 가지지 못합니다.
친구와 가족들과의 관계도 멀어지며 학교, 직장생활에 지장이 발생합니다.
[신체적 증상]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중에 하나가 수면장애입니다.
밤에 잠을 못 이루고 새벽에 계속 깨어 이러한 생활이 지속되면
식욕감퇴, 체중감소등 생활에 어려움이 발생됩니다.
일반적으로 우울증 환자의 80% 정도가 이런 증상을 보입니다.
[인지,정서적 증상]
우울증 환자 일부는 가성치매라고 일컫는 인지기능의 손상이 동반됩니다.
이로 인해 집중력 문제나 건망증이 발생됩니다.
우울증 원인
[생물학적 원인]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에 의한 원인을 말합니다.
[유전적 원인]
확률적으로 우울증을 경험하거나 앓고 있는 부모, 형제, 친척이 있는 경우
자신도 발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경적 스트레스 원인]
가장 큰 원인중에 하나이며 가까운 사람의 죽음, 실직, 사건 등 감정적인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원인이 됩니다.
[신체질환]
각종 질환으로 인한(고혈압, 암, 당뇨병 등) 지속적인 통증이 우울증의 원이 되기도 합니다.
우울증 치료
현재 우울증 치료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병의 원인과 경과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치료법도 알맞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크게 약물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 치료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
항우울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아주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신체의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뇌 기능의 조화를 찾아주는 방법입니다.
[정신 치료]
일반적으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치료법입니다.
상담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우울증의 원인을
스스로 찾아가고 고쳐감으로써 약물 치료을 시작하기 전에
선행하면 좋은 치료 방법입니다. 대인관계치료, 행동치료, 인지 치료 등의
여러 종류의 정신치료법이 있습니다.
우울증 예방 8가지 행동지침
정기적인 자가검진하기
긍정적인 마음갖고 웃으며 행동하기
음주와 흡연 금지하기
사람들과 지속적인 만남 갖기
규칙적인 수면 취하기
규칙적인 운동하기
균형 잡힌 식사하기
도움 요청하기
'정보 : Living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과나무 효능 (1) | 2020.10.06 |
---|---|
해운대 해변열차 타러 오세요 (1) | 2020.10.06 |
매실나무 효능 (피로회복, 갈증해소) (0) | 2020.10.05 |
테니스 엘보 치료법 및 운동법 (0) | 2020.10.05 |
한글날 공휴일 알아보기 (ft. 한글날 집회) (0) | 2020.10.05 |